알림뉴스 상담속보
반복적으로 상담이 접수되거나, 새로운 유형의 소비자피해를 소비자에게 속보로 알려드리는 곳입니다.
피해사례의 내용과 예방정보를 숙지하셔서 유사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대구·경북지역, 계속거래 청약철회·계약해지 거부 피해 많아
카테고리   등록일 2014/01/16 01:00:00 
출처 한국소비자원  조회 1672 
대구·경북지역, 계속거래 청약철회·계약해지 거부 피해 많아

 
- 계약 전 신중하고, 충동계약 자제해야 -

 
 이 자료는 1월 17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방송·인터넷 매체는 1월 16일 12시부터)


인터넷교육서비스, 헬스장, 학습지 등과 같이 1개월 이상의 장기간 계약을 했다가 계약 해지를 요청하면 이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요구하는 ‘계속거래’ 소비자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요구된다.

* 계속거래 : 1개월 이상에 걸쳐 계속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재화 등을 공급받는 계약

한국소비자원(www.kca.go.kr) 대구지원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대구·경북지역의 계속거래 관련 소비자 피해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총 247건의 피해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2011년 68건, 2012년 87건이 접수되었고, 2013년에는 92건이 접수되어 전년(87건) 대비 5.7% 증가하였다.

품목별로는 인터넷교육서비스가 79건(32.0%)으로 가장 많았고, 헬스장·휘트니스센터 72건(29.1%), 사설강습 42건(17.0%), 학습지 34건(13.8%), 피부·체형관리서비스 20건(8.1%) 순이었다. 피해유형별로는 계약해지 거절, 위약금 과다 청구 등 계약 관련 피해가 191건(77.3%)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중 소비자가 계약 후 1개월 이내에 청약철회 또는 계약해지를 요구한 경우가 92건(48.2%)이었다.

‘계속거래’인 경우「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비자는 원칙적으로 계약 기간 중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있다. 그러나 사업자들이 ‘환급 불가’ 등의 조항을 계약서에 넣거나 할인 및 부가서비스 제공 등의 이유로 과도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경우가 많기에, 소비자는 계약 전 해당 서비스가 본인에게 필요한지 신중하게 고민하고 판매원의 말에 현혹되어 충동적으로 계약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은  ‘계속거래’ 계약 체결 시 계약서 또는 영업장에 계약해지 제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고  계약해지 시에는 의사표시 일자를 입증할 수 있도록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하며  사업자가 계약해지를 거부하거나 이용 잔액 환급을 지연할 경우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에 도움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 첨부: 보도자료(대구·경북지역, 계속거래 청약철회·계약해지 거부 피해 많아) 1부. 끝.
 

한국소비자원 Korea Consumer Agency 보 충
취 재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 지원장 이상식 (☎053-260-5300)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 조정관 박향연 (☎053-260-5302)

 

첨부자료   140115_대구·경북지역, 계속거래 청약철회·계약해지 거부 피해 많아.hwp